1. 잘 된 분리수거에 대한 정의
2. 분리수거 성공사례 제주도
제주도에서 하는 요일별 배출을 제외하고도
성공사례라고 불리는 것이 "재활용도움센터"이다.
https://blog.naver.com/jws351/221562939886
제주도 제주시 쓰레기 재활용 분리수거 잘하는 곳!! [제주도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 ]
#제주도제주시재활용분리수거잘하는곳 #고내리 #고내리해안도로 #saltaewol 사랑해요~ 제주도.제주도.제주...
blog.naver.com
상주하며 근무하는 자원순환 도우미가 있으며
최적한 환경에서 분리수거를 마치고 손도 씻을 수 있는 공간까지 마련되어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볼 수 있지만 새로운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지는 않았다.
공간을 넓고, 상주 인력이 있고, 동일구조 (종이/캔/플라스틱/병/종이팩추가, 형광등, 의류 등) 특별함은 없는 것 같다..
새로운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
3. 코로나-19로 인하여 일회용품 사용량의 증가했기 때문에 선별장에서 늘어난 양이 엄두가 나지 않는 부분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려면 할 수 있는데 변화의 조짐이 없는 상태에서 마냥 나만 하는 느낌이 들면 하지 못할 것 같다. 나라도...
4. 오늘 당장 우리집 앞에 쓰레기 처리시설이 들어선다고 해서, 분리수거장에 가서 분리수거를 잘 할 수 있을까?
인식 개선과 교육 및 강한 충격/ 현실적 문제와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의 접근이 중요하지만
분리수거장 구조의 변화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측면도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유튜브에서 보면 정말 모든 것들을 세세하게 분리수거 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열심히 분리수거 하고 싶어도
막상 분리수거를 하는 공간에 가게되면 세세하게 하지 못한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하여 분리수거한 한것도 선별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일반쓰레기와 동일하게 소각/매립되는데... 안타깝다.
5. 태안기름유출 사태(2017) 때 나는 어린 나이라서 뉴스에서 본 기억만 막연하게 나지만
그 당시 우리 전 국민들의 참여로 빠른 시일 내에 복구가 되었다.
생각을 하면 이러한 복구 잡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개인들이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어쩌면 휴가를 써야 할 수도 있다. 오가는 교통시간과 비용을 감수해서라도 참여한다.
반면 작은 시간이 소모되는 분리수거는 왜 잘 되지 않기도 하는 걸까? 라고 생각해 본다.
의미부여가 중요한가? 유사한 환경이라는 주제이지만 태안 기름유출을 보다 강한 충격으로 다가와서인가?
6. 음지-> 양지 / 깨진 유리창 이론 등을 생각해보면 분리수거 장을 구석이나 여유공간이 아니라 가장 눈에 띄는 곳에 두면 효과가 있을까?
7. '분리배출 완료의 법칙' 이것은 내가 생각한 말인데, 일반적으로 분리수거를 하기위해 우리가 가지고 나온 쓰레기를
다시 집으로 가지고 들어가지 않는다. 어느 카테고리든 버리기 된다. 이것으로 인하여 섞이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생각된다.
8. 강제성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데... 잘못 배출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 잘못 버리는 것 자체가 안되는 쓰리기통제작
예를 들면 캔은 밟아서 동전을 넣듯이 버리는 쓰레기통... 밟다가 다치면... 안함만 못하는데...
9. 일반쓰레기에 섞여들어가는 것들을 방지하기 위한 전략
" 이것만은 넣지 말아주세요" 시리즈
투명 페트병, First(참고 영상) (1) | 2021.08.13 |
---|---|
YOLK요크 펀딩 (0) | 2021.07.27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분리수거_캡스톤 디자인 (0) | 2021.03.07 |
(여름계절학기) 청년쉼터 '한울'_캡스톤디자인 (0) | 2021.02.2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