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en/2021_지역 사회문제 해결 (capstone design) 5

분리수거 관련 아이디어를 만들어 나간 과정

1. 잘 된 분리수거에 대한 정의 개인적인 생각으로 볼때 일반적으로 잘 된 분리수거의 정의는 깨끗히 정리된 상태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 하지만 3가지 사진에서 잘 된 분리수거는 없다. 첫 번째 사진을 쓰레기가 비닐로 묶여있지 않고 산발적으로 퍼져있는 상태 두 번째 사진을 쓰레기들을 비닐로 묶여서 버려진 상태 세 번째 사진을 쓰레기 통에 벼려진 상태로 각각을 일반화한 상태에서 쓰레기의 양이 일정하다면 3가지 경우에서 재활용을 하는 선별장에서 선별하는 입장에서는 비닐을 분해해야하는 작업이 덜 있는 첫번째 사진이 더 나을 수도 있지 않을까? 2. 분리수거 성공사례 제주도 제주도에서 하는 요일별 배출을 제외하고도 성공사례라고 불리는 것이 "재활용도움센터"이다. https://blog.naver.co..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분리수거_캡스톤 디자인

#과제 요약 쓰레기 대란, 플라스틱 대란은 과거부터 이야기 되어 왔습니다. 최근 COVID-19 일회용품 사용 증가로 문제 더 커지고 있습니다. I0T를 이용한 재활용 분리수거 로봇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고 있지만 현재는 일부 지역/일정량에만 해당하는 내용이며 정부에게 규제를 촉구하고 기업에게 과대포장 금지 등의 요구들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우리가 오늘 지금 당장 재활용에 도움이 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여 다음과 같은 아이디어를 제시합니다. 현재 아파트별로 주 1회 또는 상시로 이루어지는 분리수거장에 한하여 2가지 변화를 통해 선별 업체의 재활용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첫 번째는 기존의 비닐, 플라스틱, 병, 캔 , 종이팩(우유팩), 스티로폼으로 ..

(여름계절학기) 청년쉼터 '한울'_캡스톤디자인

7월 한달 이 조금 안되는 시간동안 대전에 청년공간을 문제를 개선하고 새로운 청년공간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 주차에 주제선정 기간에 나는 쓰레기문제를 주제로 가지고 갔지만 청년공간을 주제로 선정되어서 과제를 진행하였다. 대전 청년공간을 조사해 보고 코로나라는 제약이 있었지만 방문도 해보고 조사과정을 거친 끝에 내린 대전 청년공간의 문제는 자유롭지 못하고 제한적인 분위기와 진입장벽이였습니다. 여기서 자유롭지 않다를 판단하는 기준은 서울에서 시작한 '무중력지대'라는 청년공간이였다. 대전의 청년들이 쉴수 있는 쉼터공간이라기 보다는 청년공간은 이용하는 사람만 이용이 가능한 일부를 위한 공간이라는 인식이 있었고 편하게 들어가고 나가기 보다는 입장을 하면 데스크에서 맞이하는 공간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