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en/2021-2022_생태경제학 4

에코이코노미 3

2.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체계 (1) 에너지 수요측면 낭비하지 않고 '절약'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안이다. 따라서 에너지 수요관리 측면에서 에너지가격의 탄소비용 반영을 통해서 에너지절약을 유도하고 전력수요절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에너지 효율제고 측면에서는 조명, 냉/난방 설비효율, 자동차연비 개선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2) 에너지 공급측면 화석연료를 점진적으로 축소해 나가는 노력이 요구된다. 수송용으로 사용되는 석유와 가스를 전기차/ 수소연료전지로 전환하고 열난방용으로 사용해 온 가스와 석유를 전기난반으로 대체하고 발전용으로 쓰이던 석탄과 가스를 무탄소 전력공급에 해당하는 재생에너지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전환에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천연가스"에 해당한다. (상대적으로..

에코이코노미 4

# 물질경제의 재구성 원칙 5R (Reduce - Reuse - Remanufacture - Recycle - Recovery) (1) 감량화 : 물질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업의 자원관리시스템 유니소재화 및 설계단순화 ex) 생산자책임제도 (EPR : Exp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DfE(Design for Environment) (2) 재사용 : 말 그대로 제품을 다시 사용하는 것으로 중고제품 거래 활성화와 소비자 인식 변화가 요구됨. (3) 재제조 : 자동차 부품, 잉크카트리지 등 사용한 제품을 회수하여 새제품과 동일한 수준으로 만들어 다 판매하는 것. (에너지 및 물질 절약효과 탁월) ------------------------------------------------..

에코이코노미 2

1. 탄소중립의 의미 - 탄소중립 = 탄소 zero 가 아니라 탄소배출량 - 탄소흡수량 = 0 (탄소흡수는 일반적으로 광합성을 통해서 이루진다. 현재 우리나라의 연간 탄소 배출량은 약 7억 톤이고 우리나라의 숲에서 탄소를 흡수하는 양은 4천만 톤이라고 볼 수 있다. 탄소중립은 21세기의 과제이며 100년의 과제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과제에 대한 선진국의 방식과 개도국의 방식은 구분해서 생각해야 한다. (1) 국민경제의 생산/소비구조의 전환 농업혁명이후 18세기 세계경제는 제조업혁신, 화석연료혁명으로 기록되었다. 21세기 세계경제를 후대에서는 4차산업혁명, 탄소중립혁명으로 기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18세기 이후 화석연료중심의 산업에 대한 '생산 및 소비구조의 대전환'이 요구된다. 먼저 에너지/물질 ..

에코이코노미_1

1) 자연생태계와 조화되지 않은 경제활동으로 붕괴된 세 문명 - 수메르 문명 = 물 관리 시스템의 문제 - 마야 문명 = 숲의 훼손과 토양침식 - 이스터 문명 = 벌목으로 인한 숲 파괴 2) 과학의 합리성과 객관적 진리문제(과학철학) - 칼포커의 반증주의 - 토마스쿤의 상대주의 3) 화석연료(석유/석탄/가스) 사용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 이산화탄소: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기체 - 메탄: 생활 폐기물과 축산 폐기물에서 발생하며 이산화탄소보다 20배 큰 영향을 줌. - 이산화질소: 비료나 생산공정에서 발생한다. - 불소화합물(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불화황) : 이상화탄소보다 20,000배 큰 영향을 줌. -> 교토의정서에 따라 감축해야 하는 여섯가지 온실가스 4) 우리나라가 8년이내 급격한 탄소감..